아시아개발은행, 석탄 화력 발전소 조기 폐쇄 사업 제안
COP26 개최 앞두고 석탄 수요 감소 차원 우선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으로 시범 사업 전개 전망
올해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 개최를 앞두고 탄소 배출의 주범인 석탄 화력 발전소 조기 폐쇄안이 제기되었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아흐메드 M 사이드 아시아개발은행(ADB)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사장은 "작동 수명을 50년으로 앞당긴 석탄화력발전소를 구입해 15년 안에 폐쇄함으로써 최대 35년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석탄화력발전은 현재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5분의 1을 차지해 가장 큰 오염원이 되고 있다.
또한 최대 금융기관 중 일부는 아시아에서 석탄 화력발전소 폐쇄를 앞당기기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BBC 방송이 전했다.
이니셔티브적인 프로그램은 영국의 보험사인 프루덴셜이 개발했으며 ADB가 주도하고 있으며 주요 은행인 HSBC은행과 씨티은행이 참여하고 있다. 이 계획은 인간이 만든 가장 큰 탄소 배출원 감축 방향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는 올해 전 세계 석탄 수요는 4.5% 증가할 것이며, 그 증가의 80%를 아시아가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편 국제기후변화위원회는 전 세계 석탄화력 발전량이 2030년까지 38%에서 9%로 감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상업 및 개발 은행을 비롯한 주요 투자자들이 기후 목표 달성을 염두에 두다 보니 새로운 화석 연료 발전소를 지원하는 것을 점점 더 꺼리게 되면서 나온 대체 방안을 모색 중에 제기된 것이다.
이른바 민관 협력기금을 활용해 석탄화력발전소를 사들여 평상시 가동 수명보다 훨씬 빨리 폐쇄하게 되면 그만큼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ADB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1년 된 COP26 행사에 맞춰 개발도상국인 인도네시아, 필리핀 또는 베트남에서 동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 시책의 주요 특징은 투자자들에게 평소보다 낮은 수익률을 제공하지만 명분을 제공함으로써 정상 비용보다 훨씬 낮은 금액으로 매입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아직 석탄발전소 소유주들이 어떻게 그것들을 팔도록 설득할 수 있는지, 그들이 문을 닫은 후에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탄소 배출권이 있다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수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 제안 관련 HSBC와 씨티는 BBC의 동참 의사 요청에 즉각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떠한 형태로든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가동 문제는 탄소중립관련 연계되어 감소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