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키프로스에 대한 에르도안 대통령 입장 규탄
터키 키프로스 남북 분단 고착 시도에 제동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이 자칭 선포한 키프로스 분단 수도 니코시아 북부를 방문해 언급한 발언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비난 성명을 내놓았다고 아랍 타임스가 23일 보도했다.
에르도안 터기 대통령은 지난 20일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이 자칭 선포한 키프로스 분단 수도 니코시아 북부를 방문해 터키 군대 퍼레이드 사열을 받는 행사에서 “반세기 동안의 유엔 노력이 실패했다”라며 "두 민족과 두 국가가 동등한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유엔 안보리는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키프로스 2개 주 요구와 그리스 키프로스 빈 리조트 재개 움직임에 대해 비난하며 유엔과의 ‘정의로운 합의’를 촉구했다.
23일 AFP통신도 "안보리는 이전의 결의와 성명과는 상반되는 이러한 일방적 행동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보도했다.
동지중해 섬나라인 키프로스는 1960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으나 1974년 친(親) 그리스계 장교들이 남부를 근거로 쿠데타를 일으키자, 터키군이 북부에 진입해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남북으로 분단됐다.
국제법으로는 키프로스만 정식 국가로 인정받지만, 터키는 북키프로스를 인정하고 사실상 보호국으로 삼고 있다.
2010년 미국의 지질 조사로 키프로스 섬 연안에 대량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된 사실이 확인되자 키프로스는 프랑스 토털(Total), 이탈리아 이엔아이(ENI) 등 다국적 기업과 함께 연안 자원 개발에 나섰다. 이에 터키는 북키프로스도 동일한 권리가 있다며 키프로스 섬 연안에 시추·탐사선을 투입해 키프로스, 그리스 등을 비롯한 유럽연합(EU)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현재 EU 회원국인 키프로스와 유엔은 모두 한 국가로 통합한 두 개 지역 행정부로 구성된 ' 2국 공동 통치 지구(bizonal)' 연방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에르도안 대통령은 "두 민족과 두 국가가 동등한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선언하면서 반대한다.
미국도 에르도안의 발언이 키프로스의 해결을 위한 유엔 주도 노력에 ‘부정적 효과’를 줄 것이라고 우려한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유엔 소식통은 AFP통신에 "유엔 안보리가 수요일 성명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외교관들이 에르도안 대통령에 대한 비난 강화를 논의하면서 연기됐다"라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kimsh@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