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청와대 미묘한 분위기 감지돼
민주당과 청와대 관계에 미묘한 기류가 흐른다. 청와대 부동산 논란과 이에 따른 인사 개편까지 이뤄진 것이 그 배경이다. 당 대표 후보들도 청와대 위기 상황에 쓴소리를 내놓고 있다. 이에 민주당이 청와대에 대립각을 세울지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하는 후보들 사이에서 “청와대가 정부 국정운영에 반성이 필요한 시점에 처해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8·29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한 캠프 관계자는 11일 "청와대 부동산 논란이 터지면서 전대 이슈도 청와대가 추구하던 안정적인 국정기조와는 다른 쪽으로 갈 것 같다"고 말했다.
당 대표에 도전하는 이낙연, 김부겸 후보 모두 청와대의 위기 대처 능력이 부족함을 꾸짖었다.
이낙연 후보는 지난 7일 광주·전남 권역 방송토론회에서 "고위공직자들은 다주택을 처분해 집 하나만 가지라고 말해놓고 자기들은 굼뜨게 대처했다"며 청와대 인사들을 비판했다.
이에 이 의원이 청와대와 거리를 두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의원 관계자는 "당 대표 출마 때부터 이미 다주택자 문제에 대해선 빨리 해결해야한다는 메시지를 줘왔다"며 청와대와의 거리두기 의혹엔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이 관계자는 "이 의원은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국민에게 겸손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는 입장도 가지고 있다"며 청와대의 땜질식 정책 발표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했다.
김부겸 후보도 토론회에서 "청와대가 국민 입맛에 맞는 실적을 못 보였다"는 평가를 내놨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청와대에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는데 당권 후보들이 이를 모른 척할 수 있겠느냐"며 "민심이 요동치면 후보들은 이에 호응하는 해법과 혜안 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는 청와대의 행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질 것을 사실상 예고한 것이다.
최고위원에 출마하는 한 후보도 "청와대가 부동산 논란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게 가장 아쉽다"며 "누군가가 책임지는 모습이라도 보였어야하는데 대처 속도도 늦었다"며 아쉬워했다.
여기에 최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지지율이 떨어지는데다 미래통합당이 민주당을 오차범위 내로 좁혀오는 상황에서 당내 보좌관·비서관 등도 위기의식에 강하게 공감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의 한 보좌관은 "당 지도부도 마음이 조급할 거다. 지금 상황은 위중하게 봐야한다"며 "이번 전대가 지금의 위기의식을 충분히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이 돼야한다는 목소리가 많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민주당이 무작정 청와대를 뒤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당의 중심에 선 친문세력의 영향력이 아직은 절대적이라 의식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당 대표에 출마하는 박주민 후보는 지난 9일 페이스북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지향하는 목표가 옳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친문세력임을 확고히 했다.
이번 전대 최고위원에 출마하는 또 다른 후보는 "물론 청와대에 잘못도 있겠지만 당 입장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정부의 코로나19 대처 능력 덕분에 압승할 수 있었다"고 청와대의 위기대처 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어 "지금 청와대가 힘들 때 국회가 입법으로 뒷받침해야한다"여 국회의 적극적인 입법을 촉구했다. 이는 사실상 당을 지탱하는 친문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현재 당의 핵심부엔 여전히 친문이 있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여전히 당 지지율을 웃돌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당이 청와대와 대놓고 대립각을 세우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