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배달의 민족 때리기'..."전화 주문 독려"

2020-04-07     김태오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신년 희망의 메시지를 적은 족자를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배달의 민족을 상대로 연일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는 모양새다. 배달의 민족이 수수료 정액제 복귀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 지사는 이용자들을 상대로 배민 앱 사용을 건너뛰고 전화로 주문할 것을 독려하는 소비자운동 동참 의사를 전했다.
 
7일 이재명 지사는 이날 오전 SNS에 '국민 무시에 영세상인 착취하는 독점기업 말로는 어떻게 될까요?'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해당 글에서 이 지사는 "배달앱 아닌 전화로 주문하고 점포는 전화주문에 인센티브를 주자는 운동이 시작됐다"며 "도민을 보호해야 하는 지사로서 적극 응원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국민과 소비자는 기업을 살릴 수도 있지만 죽일 수도 있다는 걸 (배민이) 모르는 것 같다"며 "단순 플랫폼 독점으로 통행세 받는 기업이 인프라 투자자이자 기술문화자산 소유자인 국민을 무시하고 성공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돈만 밝힌다고 돈을 벌 수는 없다"며 "성공한 기업들이 왜 사회공헌에 윤리경영을 하고 어려운 시기에는 이용료 깎아주며 공생을 추구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배민측에 대해 압박을 가했다.

이와 같은 이 지사의 발언은 배민측이 전날 사과문을 내면서도 수수료 정액제 복귀에 대해 정확히 하지 않은 것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배민측은 ▲수수료 체계 개편이 이른바 깃발꽂기(일부 업소가 광고 노출과 주문을 독식)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라는 점을 앞세웠다.

이에 다시 정액제로 되돌리되 광고갯수에 제한을 둬 폐해를 개선하면 되는 데 배민측이 정률제를 고수하는 배경은 결국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이다.

앞서 이 지사는 전날에도 YTN 라디오 '이동형의 뉴스 정면승부'에 출연해  "개입의 방식으로는 입법적으로 일정액 이상의 이용료를 못 받게 하는 방법도 있다"면서 "그게 안 된다면 경기도 차원에서 민간에 경쟁적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군산 시스템을 가능하면 활용하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할 경우 군산에서 하는 것처럼 지역 화폐 이용자들은 이 앱을 이용해 주문하면 가격 이익을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