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코로나 치료제'연내 상용화..."이낙연, 규제 완화 협의중"

2020-04-02     정유진 기자
[ 중국 하이난(海南)성 하이커우(海口)의 하이난 혈액센터에서 지난 2월1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환자 한 명이 혈장을 기증하고 있다. 미 식품의약국(FDA)은 25일(현지시간) 일부 심각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회복된 환자의 혈장 사용을 승인했다. 또 뉴욕시도 중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환자들의 혈청을 검사하기 시작하기로 했다 / 사진 = 뉴시스 ]

GC녹십자는 자사가 개발 중인 ‘GC5131A’가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연내 상용화 될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GC5131A는 코로나19 완치된 환자의 혈장에서 다양한 항체가 들어있는 면역 단백질만 분획해 만든 고면역글로불린(Hyperimmune globulin)이다.

면역글로불린이란 혈청성분 중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항체 작용을 하는 단백질을 말한다.이는 바이러스를 이겨낸 사람의 혈장에 항체가 형성된다는 점에 착안해, 항체가 들어있는 면역글로불린만 떼어낸다는 개념이다.

또 셀트리온 등 일부 기업은 코로나19에 효능있는 항체 후보군을 발굴해서 치료제로 만드는 과정 중에 있다.

GC녹십자는 이 같은 항체 발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다양한 항체가 들어있는 면역 단백질을 분획해 치료제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따라서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혈장 치료제 개발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는 오랜 기간 인체에 사용돼 온 면역글로불린제제이기 때문이다. 이미 상용화된 동일제제 제품들과 작용 기전 및 생산 방법이 같아서 신약 개발과 달리 개발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다만,현재는 생산 목적으로 쓸 수 없는 부적격 혈액만 연구용으로 기증될 수 있어, 혈장 확보의 걸림돌이 된다.
이에 지난 1일 GC녹십자를 방문한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은 관련 규제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위원장은 “혈장의 채집, 연구, 연구 결과의 허가, 상용화 등 모든 단계에 규제가 있는데 지금은 전시상황에 준한다고 봐서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도록 당정 간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은철 GC녹십자 사장은 “치료적 확증을 위한 임상을 조만간 시작할 것”이라며 “치료제가 가장 시급한 중증환자 치료와 일선 의료진과 같은 고위험군 예방(수동면역을 통한) 목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