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美 공격시 "이스라엘 표적삼을 것"
이란과 미국의 갈등이 폭격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이란이 미국의 재보복 때 이스라엘 주요 도시들을 표적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AFP통신은 모흐센 레자에이 이란 전 혁명수비대장이 5일(현지시간) 거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 사령관을 살해한 것에 대한 이란의 보복에 미국이 대응에 나설 경우 이스라엘을 공격하겠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레자에이는 이란 혁명수비대 장성이자 헌법기관인 국정조정위원회 사무총장으로, 그는 트위터에 "만약 미국이 이란의 군사적 대응에 어떠한 반격에 나선다면 이스라엘의 하이파와 텔아비브는 가루가 될 것"이라고 글을 올렸다.
하이파는 지중해에 접한 이스라엘의 3대 도시로 무역, 휴양, 상공업 중심지 가운데 하나이다. 텔아비브는 국제법상 이스라엘의 수도이며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의 성지인 예루살렘에 이어 인구가 많은 이스라엘의 2대 도시이다.
이란 ISNA 통신에 따르면 레자에이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의 보복이 있을 경우 52개 지역을 공격한다고 했다"며 "그렇게 되면 이란은 이스라엘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이파와 이스라엘의 중심지들을 가루로 만들어버리겠다 "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이란이 미국인과 미국 시설을 공격할 경우 이란과 이란 문화에서 중요한 52곳을 신속하고도 강력하게 타격하겠다"고 하자 반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문화 유적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됐다. 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후예인 이란은 문화 강국이라는 자부심을 가진 국가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도 이집트보다 많은 24곳을 보유했다.
이에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부 장관은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장소를 공격하는 것은 전쟁범죄"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중동 국가들은 침묵을 지키며 쉽사리 움직이지 못하고 있다. 종교적으로 분열된 지역 특성 탓에 섣불리 이란을 자극하면 상황이 더 복잡해질 것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