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반도체 제조기술 핵심특허 확보 '관건'
[뉴스비전e 박준상 기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앞두고 반도체 제조기술 분야 특허출원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이 최근 10년간(2007년~2016년) 반도체 제조기술 관련 특허출원동향을 분석한 결과, 그 특허출원건수가 2007년 7천 583건에서 2016년 4천 241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외국인의 특허출원건수는 동기간 매년 2천건 내외로 유지되어 온 반면, 내국인의 특허출원건수는 2007년 4천 928건 대비 2016년 1천 936건인 절반 이하로 급감해왔다.
특히, 우리기업의 특허출원건수가 2007년 4천 474건에서 2016년 1천 585건으로 감소한 가운데, 그중 대기업의 경우 2007년 2천 518건 대비 2016년 568건인 23% 이하로 크게 감소했다.
더구나, 2014년 기준 우리기업의 이 분야 국내출원 대비 해외출원 비율도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각각 22%, 8%로 낮게 나타났다.
2016년의 반도체 제조기술 종류별 특허출원비중을 살펴보면, 리소그래피기술(31%)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그 뒤로 증착기술(24%), 이송・지지기술(18%), 연마・절단기술(9%), 검사기술(5%), 식각기술(5%), 패키징기술(4%), 이온주입기술(3%), 세정기술(2%)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2016년 기준 주요국과 비교해 볼 때 고부가가치 반도체 제조 기술인 리소그래피기술, 증착기술 및 식각기술 등에 비하여 세정기술 및 이송 ・ 지지기술 등에서 특허출원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5년간의 다출원인 현황을 살펴보면, 동경일렉트론(일본, 1천 164건), 세매스(한국, 883), 삼성전자(한국, 832건),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미국, 679건), 동우화인켐(한국, 648건)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