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배 악화·양극화 심화...중산층도 줄었다.
[뉴스비전e 신승한 기자] 지난해 소득분배가 악화되면서 중산층 비율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중산층 비중은 65.7%로 전년(67.4%) 대비 1.7%p 하락했다.
통계청은 통계의 연속성, 국제비교 측면을 고려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따라 중위소득의 50∼150%를 중산층으로 정의하고 있다.
중산층 비중은 2011년 64%에서 2012년 65%, 2013년 65.6%로 상승했다가 2014년 65.4%로 소폭 하락했다. 2015년 다시 67.4%로 상승했지만 1년만인 2016년 하락세를 나타냈다.
중산층 비율 감소는 지난해 우리 사회의 소득분배 지표가 나빠진 영향이라는 지적이다.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2011년 0.311, 2012년 0.307, 2013년 0.302, 2014년 0.302, 2015년 0.295까지 내려갔다가 지난해 0.304로 상승했다.
지니계수는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하는데, 지난해 지니계수가 상승한 것은 소득불평등 정도가 커졌다는 의미이다.
상위 20% 계층(5분위)의 소득을 하위 20% 계층(1분위)의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지난해 5.45배로 2011년(5.73배) 이후 5년 만에 악화됐다.
사회 전반의 구직난와 내수경기 악화로 인한 자영업 매출 감소 등으로 인해 저소득층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줄어들면서 소득분배가 더 악화된 것이다.
내수 불황과 물가 상승, 임금 감소 등은 중산층에까지 버티지 못하고 탈락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