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뉴스비전e>

[뉴스비전e 이미정 기자] 1인가구의 건강상태와 주거환경이 다인가구보다 열악한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우리나라 세대별 1인 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강은나·이민홍)를 보면, 한국복지패널 9차연도(2014년) 자료를 분석해 청년층(20~39세), 중년층(40~64세), 노년층(65세 이상) 등 세대별 1인 가구특성을 살펴보니, 연령층에 상관없이 1인 가구는 자기집 소유 비율이 낮았다.


자기 집을 가진 1인 가구는 청년층 11.6%, 중년층 29.9%, 노년층 44.3% 등에 그쳐 60~76%에 이르는 다인 가구의 자가소유비율보다 낮았다.

1인 가구의 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은 청년층 3.5%, 중년층 16.1%, 노년층 17.4% 등으로 빈곤가구 비중도 3~6% 안팎에 불과한 다인 가구보다 높게 나왔다.


중년층 1인 가구는 국민연금(64.2%)이나 퇴직연금(7.6%), 개인연금(10.5%) 가입률도 다인 가구(국민연금 79.6%, 퇴직연금 10.1%, 개인연금 17.7%)보다 낮아 노후 소득의 불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년층 1인 가구의 만성질환감염률(64.8%)과 입원율(12.4%), 우울 의심률(27.2%), 자살상각률(13.9%) 등은 중년층 다인 가구(만성질환감염률 44.0%, 입원율 8.2%, 우울 의심률 8.8%, 자살상각률 3.0%)보다 훨씬 높았다.


청년층 1인 가구는 술과 담배에 훨씬 더 많이 노출돼 있었다. 청년층 1인 가구의 흡연율(32.9%)과 음주율(82.1%)은 청년층 다인 가구(흡연율 19.3%, 음주율 67.9%)를 월등히 앞질렀다.

게다가 중년층과 노년층 1인 가구는 방음·환기·채광·난방 설비가 미흡한 곳에서 사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음·진동악취·대기오염 등으로 주거환경이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1인 가구 비중도 다인 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