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1990년 인도네시아에서 수하르토(Suharto) 대통령이 시멘트공장을 지어 달라고 요청했다.

나는 흔쾌히 수락했다. 당시 일흔을 넘긴 나이였지만 체력도 열정도 30년 전 문경공장을 지을 때와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나는 ‘시비뇽시멘트플랜트(P.T. SEMEN CIBINONG)’ 건설과 운영을 총괄했다. 150만 톤 규모의 최신식 공장을 짓는데 기자재와 기술은 전부 한국산으로 하고 시공은 현대건설에서 하도록 했다.

인도네시아의 열악한 환경과 문화 차이를 극복하고 2년 반 만에 시비뇽공장을 완공했다.

한국의 뛰어난 기자재와 기술력을 전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시멘트플랜트기술의 첫 수출이자 ‘배우는 나라’에서 ‘가르치는 나라’로 거듭나는 쾌거였다.

수하르토 대통령은 직원 훈련도 부탁했다. 공장장을 비롯해 직원들을 40명씩 3개월간 동양시멘트 삼척공장에 데려가 현장실습(OJT)을 시켜 돌려보냈다.

한국에서 기술을 습득한 인도네시아인들에 의해 시멘트 생산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는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자체 기술로 시멘트공장을 짓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나를 최고자문으로 위촉했고 나는 오랫동안 자문을 해주었다.

 

◆ 남기동 선생은...

1919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올해로 100살이다. 일본 제6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신생 이공학부 응용화학과에 편입했다. 1946년 중앙공업연구소 지질광물연구소장, 요업 과장으로 근무하며 서울대, 고려대, 한양대 등에도 출강했다. 부산 피난 중에도 연구하며 공학도들을 가르쳤다. 6·25 후 운크라 건설위원장을 맡아 1957년 연산 20만 톤 규모의 문경시멘트공장을 건설했다. 화학과장, 공업국 기감(技監)으로 인천판유리공장, 충주비료공장 등 공장 건설 및 복구사업을 추진했다. 1960년 국내 대학 최초로 한양대에 요업공학과를 창설하고 학과장을 맡았다. 1962년 쌍용양회로 옮겨 서독 훔볼트의 신기술 ‘SP킬른(Kiln)’ 방식으로 1964년 연산 40만 톤 규모의 영월공장을 준공했는데, 최단 공사기간을 기록해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영월공장 준공으로 우리나라는 시멘트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1968년 건설한 동해공장은 단위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였다. 공장 증설을 거듭해 1992년 우리나라 시멘트 생산량은 세계 5위가 되었다. 1978년 동양시멘트로 자리를 옮겨 2차 오일쇼크 때 시멘트 생산 연료를 벙커씨유에서 유연탄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 특허 대신 공개를 택해 업계를 위기에서 살려냈다. 이 공적으로 1981년 '3·1 문화상(기술상)'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수하르토(Suharto) 대통령 요청으로 1992년 인도네시아 최초의 시멘트공장인 '시비뇽 시멘트플랜트(P.T. SEMEN CIBINONG)'를 건설했다. 한국요업(세라믹) 학회, 한국화학공학회, 대한화학회등 3개 학회, 대한요업총협회(지금의 한국세라믹총협회) 회장으로 학계와 산업계의 유대를 다졌다. 학교, 연구소, 산업체가 참석하는 '시멘트심포지엄'을 개최하고, 한일국제세라믹스세미나를 조직해 학술교류는 물론 민간교류에도 힘썼다. 세라믹학회는 그의 호를 따 장학지원 프로그램인 '양송 상'을 제정했다. 1993년 인하대에서 명예공학박사 학위를 받고, 2006년 서울대 설립 60돌 기념 '한국을 일으킨 60인' 상, 2007년 세라믹학회 창립 50주년 특별공로상을 받기도 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